한스 라이헨바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라이헨바흐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과학 이론가로, 1891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나 1953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그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나 나치의 인종 차별 정책으로 인해 해임된 후 터키와 미국에서 활동했다. 라이헨바흐는 논리 경험주의와 베를린 학파를 창설했으며, 과학 철학,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 확률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과학 철학의 형성』, 『시공간의 철학』, 『확률론』, 『양자 역학의 철학적 기초』 등이 있다. 그는 과학적 법칙과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연결의 공리와 조정의 공리를 구분하고,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을 구분하는 등 과학 철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 대학교 교수 - 빌헬름 뢰프케
독일의 경제학자 빌헬름 뢰프케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 경제학자이자 질서자유주의의 대표 학자로, 나치에 저항하며 해외에서 활동했고, 전후 독일 경제 부흥에 기여했으며, 자유 시장과 사회적·윤리적 틀을 강조한 경제 인본주의를 주장했지만, 인종차별적 견해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이스탄불 대학교 교수 - 조르주 뒤메질
프랑스의 비교종교학자이자 인도유럽학자인 조르주 뒤메질은 인도유럽 신화와 사회 구조 연구, 특히 사회를 사제, 전사, 생산자로 구분하는 삼기능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학계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논쟁도 있다. - 빈 학파 - 카를 구스타프 헴펠
카를 구스타프 헴펠은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로, 여러 대학교에서 수학, 물리학, 철학을 공부했으며 다비트 힐베르트의 프로그램에 영향을 받아 그의 업적을 기리는 거리가 조성되었다. - 빈 학파 - 프랭크 램지
프랭크 램지는 1903년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논리철학 논고》 번역에 참여하고 램지 정리를 증명했으며, 경제학 연구를 수행하다 26세에 사망한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경제학자이다. - 독일의 사회주의자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독일의 사회주의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스 라이헨바흐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스 라이헨바흐 |
출생일 | 1891년 9월 26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함부르크 |
사망일 | 1953년 4월 9일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학문 분야 | 서양 철학, 20세기 철학 |
소속 학파 | 분석철학, 베를린 학파, 논리 실증주의 |
학력 | |
박사 지도교수 | 파울 헨젤, 막스 뇌터 |
학문 지도교수 | 막스 보른, 에른스트 카시러, 다비트 힐베르트, 막스 플랑크, 아르놀트 조머펠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출신 대학 | 베를린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뮌헨 대학교, 에를랑겐 대학교(박사, 1916),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교(교수 자격 학위, 1920)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현실의 수학적 표현을 위한 확률의 개념 (Der Begriff der Wahrscheinlichkeit für die mathematische Darstellung der Wirklichkeit) |
교수 자격 학위 논문 제목 | 상대성이론과 선험적 인식 (Relativitätstheorie und Erkenntnis Apriori) |
경력 | |
소속 기관 | 베를린 대학교, 이스탄불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제자 | |
주요 제자 | 칼 구스타프 헴펠, 힐러리 퍼트넘, 웨슬리 새먼, 타키예틴 멩귀쇼글루, 힐미 지야 윌켄, 이오안나 쿠추라디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마르틴 하이데거, 파울 헨젤, 쿠르트 그렐링 |
영향을 받은 인물 | 칼 구스타프 헴펠 |
주요 관심사 | |
주요 관심사 | 과학 철학 |
주요 아이디어 | |
주요 아이디어 | 확률론적 정당화/추론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함의 양자 역학의 철학적 기초 "발견의 맥락"/"정당화의 맥락" 구분 상대화된 선험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지식의 구성 원리 집합) 연결 공리(경험 법칙) 대 조정 공리(구성 원리) |
2. 생애
1891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라이헨바흐는 에른스트 카시러, 다비트 힐베르트, 막스 플랑크, 막스 보른, 아르놀트 조머펠트 등에게서 물리학, 수학, 철학을 배웠다.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확률 이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교에서 사강사로 일했다. 1926년 베를린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가 되었고, 1928년에는 베를린 학파를 창설하여 칼 헴펠, 리하르트 폰 미제스, 다비트 힐베르트 등과 교류했다.
나치즘이 대두되자, 유대계였던 라이헨바흐는 1933년 독일을 떠나 1938년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철학과 교수가 되었다. UCLA에서 칼 헴펠, 힐러리 퍼트넘, 웨슬리 새먼 등을 가르쳤다.
1953년 4월 9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91-1915)
1891년 9월 26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유태교에서 개신교로 개종한 아버지 브루노 라이헨바흐와 개신교 신자인 어머니 젤마 멘첼 사이에서 다섯 명의 자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5] 아버지는 유태인이었지만 개신교로 개종한 상인이었으며, 어머니는 교사 출신으로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형 베르나르트는 좌익 공산주의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남동생 헤르만은 음악 교육자였다.어린 시절부터 지적 재능이 비상해 대학 입학 전까지 반에서 1등을 놓치지 않았다. 기술자가 되기를 꿈꿨던 그는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에 입학했지만, 곧 공학이 자신의 지적 욕구와 부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전공을 변경했다.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에를랑겐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뮌헨 대학교에서 에른스트 카시러, 다비트 힐베르트, 막스 플랑크, 막스 보른, 에드문트 후설, 아르놀트 조머펠트 등의 지도를 받아 수학, 물리학, 철학을 연구했다.[5]
1910년에서 1911년까지 1년여 동안 슈투트가르트에 있는 전문대학에서 공학을 연구했다. 1915년, 수학적 확률 이론을 물리적 세계에 적용하는 문제를 주제로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몇 년 동안 통신회사에서 일하면서 틈틈이 연구를 계속했다.
2. 2. 청년 운동과 정치 활동 (1910-1919)
라이헨바흐는 청년 운동과 학생 단체에서 활동했다. 1910년에 자유 학생 단체에 가입했고,[6] 1913년 호헤 메이서에서 열린 자유 독일 청년 연합 단체의 창립 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대학교 개혁, 연구의 자유, 그리고 학생 단체 내 반유대주의 침투에 반대하는 내용의 기사를 발표했다. 그의 형인 베르나르트도 이러한 활동에 동참했으며, 이후 독일 공산 노동자당의 당원이 되어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집행위원회에서 이 단체를 대표했다. 한스는 1918년에 출판된 베를린 사회주의 학생당의 강령을 작성했다.[7] 이 당은 11월 혁명까지 비밀리에 유지되었으며, 혁명 이후 공식적으로 창당되었고 그가 의장을 맡았다. 그는 또한 이 시기에 카를 비트포겔, 알렉산더 슈바프 및 그의 다른 형제 헤르만과 함께 활동했다.[8] 1919년에 그의 저서 『학생과 사회주의: 부록: 사회주의 학생당 강령』이 프롤레타리아 문화 연맹의 활동가인 헤르만 쉴러에 의해 출판되었다. 그러나 1919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강연을 들은 후, 그는 정치 단체 활동을 중단했다.[9]2. 3. 학문적 경력 (1920-1953)
1920년 라이헨바흐는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교에서 ''사강사''로 강의를 시작했다. 같은 해에 그는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함의에 대한 첫 번째 저서인 ''상대성 이론과 선험적 지식''(''Relativitätstheorie und Erkenntnis Apriori'')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이마누엘 칸트의 종합적 ''선험적'' 개념을 비판했다. 이어서 ''상대성 이론의 공리화''(1924), ''코페르니쿠스에서 아인슈타인까지''(1927),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리 실증주의적 견해를 담은 ''공간과 시간의 철학''(1928)을 출판했다.[10]라이헨바흐는 연결의 공리와 조정의 공리를 구별했다. 연결의 공리는 맥스웰 방정식과 같이 특정 물리적 사물 간의 특정 관계를 명시하는 과학적 법칙으로, 경험적 법칙을 설명한다. 조정의 공리는 유클리드 기하학과 같이 모든 것을 설명하고 ''선험적''이며 "연결이 일어나는 일반적인 규칙"이다. 예를 들어 중력 방정식의 연결의 공리는 산술의 조정의 공리에 기초한다.[10]
그는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을 구별했다. 과학자들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방식은 그것을 정당화하는 방식과 항상 같지 않으므로, 라이헨바흐는 그것들을 별개의 연구 대상으로 보았다.[11]
1926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막스 플랑크, 막스 폰 라우에의 도움으로 라이헨바흐는 베를린 대학교 물리학과의 조교수가 되었다. 그는 토론과 논쟁에 열려 있는 교수법으로 주목을 받았는데, 이는 당시에는 매우 드문 일이었다.
1928년, 라이헨바흐는 "베를린 학파(Berlin Circle)"(; )를 창설했다. 칼 구스타프 헴펠, 리하르트 폰 미제스, 다비트 힐베르트, 쿠르트 그렐링 등이 구성원이었다. 비엔나 학파 선언문은 라이헨바흐의 출판물 30개를 관련 저자들의 참고 문헌으로 나열하고 있다. 1930년 그는 루돌프 카르나프와 함께 학술지 ''Erkenntnis''를 편집하기 시작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 총리가 되자, 라이헨바흐는 유대인 조상 때문에 "인종 법"에 따라 베를린 대학교에서 즉시 해임되었다. 라이헨바흐는 유대교를 믿지 않았고 그의 어머니는 독일 개신교도였지만,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터키로 이주하여 이스탄불 대학교의 철학과장을 맡았다. 학제 간 세미나와 과학 과목 강좌를 도입했으며, 1935년에 ''확률 이론''을 출판했다.
1938년, 찰스 W. 모리스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이주하여 UCLA 철학과에서 교수를 맡았다. 라이헨바흐는 UCLA를 전후 미국에서 선도적인 철학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 칼 헴펠, 힐러리 퍼트넘, 웨슬리 새먼은 그의 가장 저명한 제자였다. 그곳에서 그는 ''양자 역학의 철학적 기초''(1944), ''기호 논리학의 요소''(1947), ''과학 철학의 부상''(1951)을 포함한 주목할 만한 책들을 출판했다.[12][13]
2. 4. 망명과 미국에서의 활동 (1933-1953)
1933년 나치즘이 대두되자 터키의 이스탄불 대학교 철학과 학과장을 5년간 맡았다. 이 시기에 라이헨바흐는 확률 이론과 기호논리학을 체계화했다. 그러나 터키의 학문적 환경은 당대의 뛰어난 자연과학적 성과들을 과학자들과 공유하고 이를 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던 라이헨바흐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1938년 찰스 W. 모리스의 도움을 받아 독일을 탈출하여 미국으로 건너갔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심리학부에서 일자리를 얻었으며, 힐러리 퍼트넘과 웨슬리 새먼을 길러냈다.[1] 1953년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사망하기 전까지 확률 이론, 기호논리학과 같은 기초적인 철학 분야에 대한 연구와 상대성 이론, 양자역학, 통계역학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했다.
2. 5. 사망
Hans Reichenbach|한스 라이헨바흐de는 1953년 4월 9일, 알프스 등반 때부터 앓아오던 심장병으로 사망했다.3. 주요 연구 및 업적
라이헨바흐는 베를린 학파를 창설하고 논리 경험주의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물리학의 기초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1951년 저서 『과학적 철학의 융성』(한국어 번역: 『과학 철학의 형성』, 1985년)을 통해 과학에 기반한 명석한 경험주의 철학을 제시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 라이헨바흐는 과학을 "가설의 발견 과정"과 "가설의 검증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구분은 이후 과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논리경험주의와 과학 철학
라이헨바흐는 베를린 학파를 창설하고 논리 경험주의(logical empiricism, 논리 실증주의와 매우 유사하지만 라이헨바흐는 논리 경험주의라는 명칭을 선호했다)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리학의 기초에 관한 다양한 연구로 유명하며, 그의 저서 『과학적 철학의 융성』(1951년)(한국어 번역: 『과학 철학의 형성』 1985년)은 과학에 기반한 명석한 경험주의 철학을 제시하여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과학은 "가설의 발견 과정"과 "가설의 검증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구분은 이후 과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3. 2. 확률 이론
라이헨바흐는 베를린 학파를 창설하고 논리 경험주의(논리 실증주의와 매우 유사하지만 라이헨바흐는 논리 경험주의라는 명칭을 선호했다)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리학의 기초에 관한 다양한 연구로 유명하며, 그의 저서 『과학적 철학의 융성』(1951년)(한국어 번역: 『과학 철학의 형성』 1985년)은 과학에 기반한 명석한 경험주의 철학을 제시하여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과학은 "가설의 발견 과정"과 "가설의 검증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구분은 이후 과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3. 3. 상대성 이론과 시공간 철학
라이헨바흐는 1920년에 상대성 이론의 철학적 함의에 대한 첫 번째 저서인 ''상대성 이론과 선험적 지식''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이마누엘 칸트의 종합적 ''선험적'' 개념을 비판했다.[10] 그는 이어서 ''상대성 이론의 공리화''(1924), ''코페르니쿠스에서 아인슈타인까지''(1927), 그리고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리 실증주의적 견해를 담은 ''공간과 시간의 철학''(1928)을 출판했다.[10]라이헨바흐는 연결의 공리와 조정의 공리를 구별했다. 연결의 공리는 맥스웰 방정식과 같이 특정 물리적 사물 간의 특정 관계를 명시하는 과학적 법칙으로, 경험적 법칙을 설명한다. 조정의 공리는 유클리드 기하학과 같이 모든 것을 설명하고 ''선험적''이며 "연결이 일어나는 일반적인 규칙"이다. 예를 들어 중력 방정식의 연결의 공리는 산술의 조정의 공리에 기초한다.[10]
그는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을 구분했다. 과학자들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방식은 그것을 정당화하는 방식과 항상 같지 않으므로, 라이헨바흐는 그것들을 별개의 연구 대상으로 구별했다.[11] 과학은 "가설의 발견 과정"과 "가설의 검증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는 이러한 구분은 이후 과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4. 양자 역학의 철학적 기초
한스 라이헨바흐는 베를린 학파를 창설하고 논리 경험주의(논리 실증주의와 매우 유사하지만 라이헨바흐는 논리 경험주의라는 명칭을 선호했다)를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리학의 기초에 관한 다양한 연구로 유명하며, 그의 저서 『과학적 철학의 융성』(1951년)(한국어 번역: 『과학 철학의 형성』 1985년)은 과학에 기반한 명석한 경험주의 철학을 제시하여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라이헨바흐는 과학을 "가설의 발견 과정"과 "가설의 검증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구분은 이후 과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3. 5.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라이헨바흐는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을 구분했다. 과학자들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방식(발견의 맥락)은 그것을 정당화하는 방식(정당화의 맥락)과 항상 같지 않으므로, 라이헨바흐는 이 둘을 별개의 연구 대상으로 보았다.[11] 과학은 "가설의 발견 과정"과 "가설의 검증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는 이러한 구분은 이후 과학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9]3. 6. 베를린 학파
1928년, 라이헨바흐는 소위 "베를린 학파"(Die Gesellschaft für empirische Philosophiede; Society for Empirical Philosophy영어)를 창설했다.[12] 칼 구스타프 헴펠, 리하르트 폰 미제스, 다비트 힐베르트, 쿠르트 그렐링 등이 구성원이었다.[12] 비엔나 학파 선언문은 라이헨바흐의 출판물 30개를 관련 저자들의 참고 문헌으로 나열하고 있다.[12] 1930년 그는 루돌프 카르나프와 함께 학술지 ''Erkenntnis''를 편집하기 시작했다.[12]4. 작품 목록
- Der Begriff der Wahrscheinlichkeit für die mathematische Darstellung der Wirklichkeitde (에를랑겐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16.
- Relativitätstheorie und Erkenntnis Aprioride (슈투트가르트 공과대학 자격 논문), 1920. 영어 번역: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a priori knowledge영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5.
- "Der gegenwärtige Stand der Relativitätsdiskussion.", 1922. 영어 번역: "The present state of the discussion on relativity" in Reichenbach (1959).
- Axiomatik der relativistischen Raum-Zeit-Lehrede, 1924. 영어 번역: Axiomatization of the theory of relativity영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9.
- "Die Bewegungslehre bei Newton, Leibniz und Huyghens.", 1924. 영어 번역: "The theory of motion according to Newton, Leibniz, and Huyghens" in Reichenbach (1959).
- Von Kopernikus bis Einstein. Der Wandel unseres Weltbildesde, 1927. 영어 번역: From Copernicus to Einstein영어, Alliance Book Co., 1942.
- ≪시ᐨ공간의 철학≫ (Philosophie der Raum-Zeit-Lehrede), 1928. 영어 번역: The Philosophy of Space and Time영어, 도버, 1957.
- Atom und Kosmos. Das physikalische Weltbild der Gegenwartde, 1930. 영어 번역: Atom and cosmos: the world of modern physics영어, G. Allen & Unwin, ltd., 1932.
- "Ziele und Wege der heutigen Naturphilosophie.", 1931. 영어 번역: "Aims and methods of modern philosophy of nature" in Reichenbach (1959).
- ≪확률론≫ (Wahrscheinlichkeitslehre: eine Untersuchung über die logischen und mathematischen Grundlagen der Wahrscheinlichkeitsrechnungde), 1935. 영어 번역: The theory of probability, an inquiry into the logical and mathematical foundations of the calculus of probability영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49.
- Experience and prediction: an analysis of the foundations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영어,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38.
- From Copernicus to Einstein영어, 도버, 1942.
-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Philosophic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영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44.
- ≪기호논리학의 요소들≫ (Elements of Symbolic Logic영어), 도버, 1947.
- "Philosophy and physics" in ''Faculty research lectures, 1946'',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48.
-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relativity" in Schilpp, P. A., ed., ''Albert Einstein: philosopher-scientist'', 에반스턴: The Library of Living Philosophers, 1949.
- ≪과학철학의 형성≫ (The Rise of Scientific Philosophy영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51.
- Nomological statements and admissible operations영어, 노스 홀랜드, 1954.
- ≪시간의 방향≫ (The Direction of Time영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56.
- Modern philosophy of science: Selected essays by Hans Reichenbach영어, 라우틀리지 & 케건 폴, 1959.
- Selected writings, 1909–1953: with a selection of biographical and autobiographical sketches영어 (비엔나 학파 컬렉션), 도르드레흐트: 라이델, 1978.
- Hans Reichenbach, logical empiricist영어 (Synthese library), 도르드레흐트: 라이델, 1979.
- Erkenntnis Orientated: A Centennial volume for Rudolf Carnap and Hans Reichenbach영어, 클루버, 1991.
- Logic, language, and th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ies: proceedings of the Carnap-Reichenbach centennial영어, 콘스탄츠 대학교, 1991년 5월 21-24일. 피츠버그 대학교 출판부, 1991.
참조
[1]
간행물
Hans Reichenbach
https://plato.stanfo[...]
2016-11-01
[2]
서적
Dynamics of Reason: The 1999 Kant Lectures at Stanford University
CSLI/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3]
간행물
The Berlin Group and the Vienna Circle: Affinities and Divergences
Springer
2013
[4]
웹사이트
Guide to the Hans Reichenbach Papers, 1884-1972 ASP.1973.01
https://digital.libr[...]
University of Pittsburgh
2015-12-01
[5]
서적
Hans Reichenbach: Logical Empiricis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6]
서적
The Berlin Group and the Philosophy of Logical Empiric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7]
서적
Hans Reichenbach Selected Writings 1909–1953
1978
[8]
웹사이트
Wittfogel, Karl August
https://www.bundesst[...]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2020-07-09
[9]
웹사이트
Hans Reichenbach: philosopher-engineer
http://etheses.dur.a[...]
Durham University
2019-04-16
[10]
논문
Relativizing the relativized a priori: Reichenbach's axioms of coordination divided
2011-07
[11]
서적
Encyclopedia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2015
[12]
서적
Hans Reichenbach: Logical Empiricis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13]
웹사이트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http://www-history.m[...]
[14]
논문
Empirical Validation of Reichenbach's Tense Framework
http://www.aclweb.or[...]
2013-03-14
[15]
웹사이트
Philipp Frank Correspondence
http://digital.libra[...]
2015-12-01
[16]
웹사이트
Philosophy Congress
http://digital.libra[...]
2015-12-01
[17]
웹사이트
Responses to Questionnaire
http://digital.libra[...]
2015-12-01
[18]
웹사이트
Weyl's Extension of the Riemannian Concept of Space and the Geometrical Interpretation of Electricity
http://digital.libra[...]
2015-12-01
[19]
서적
本当の声を求めて 野蛮な常識を疑え
SIBAA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